본문 바로가기

생물권보전지역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미래, 생물권보전지역

생물권 보전지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공존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곳입니다. 자연을 보호하는 동시에, 생태계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모델을 구축하며,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지속 가능한 자원 이용과 같은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유네스코는 1971년 설립된 인간과 생물권 프로그램(Man and Biosphere Programme, MAB)을 운영하며, 전 세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WNBR)를 조성하고, 효과적인 보전과 발전이 실현될 수 있도록 연구·정책 개발·교육을 지원합니다.

유네스코 MAB 프로그램

기능과 구역

  • 생물권보전지역의 세가지 기능 생물권보전지역은 단순히 자연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실현하는 곳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보전(Conservation)

    생물다양성과 문화적 다양성의 보호

    발전(Development)

    사회·문화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도모

    지원(Logistic Support)

    연구, 모니터링, 교육 및 훈련을 통한 발전 지원

  •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별구역 생물권보전지역은 자연을 보호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 구역으로 나뉘어 운영됩니다. 각 구역은 서로 연결되어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수 있도록 조정됩니다.
    핵심구역(Core Areas)자연 그대로의 보호구역
    생태계를 온전히 보전하기 위해 엄격하게 보호되는 구역입니다.
    • - 생태계, 종, 유전적 다양성을 보전하는 핵심 지역
    • -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연구 및 모니터링만 제한적으로 허용
    완충구역(Buffer Zones)보호와 활용의 균형
    핵심구역을 둘러싸며 자연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이 공존하는 구역입니다.
    • - 생태 관광, 환경 교육,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는 구역
    • - 핵심구역을 보호하면서도 자연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
    협력구역(Transition Areas)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활공간
    사람들이 거주하며 자연을 활용하여 환경을 고려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구역입니다.
    • - 친환경 농업, 지속 가능한 관광, 전통적 자원 이용 등이 이루어짐
    • - 지역사회가 주체적으로 환경 보호와 경제 발전을 조화롭게 실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기준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자연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는 지역으로,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생태적 가치와 생물다양성 보호

    • - 주요 생물지리학적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해야 합니다.
    • -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멸종위기종의 서식지 보전에 기여해야 합니다.
    2

    생태적 가치와 생물다양성 보호

    • - 환경 보호와 경제·사회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이어야 합니다.
    • - 지역사회가 자연을 보호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적절한 규모와 구역 설정

    • - 생물권보전지역은 보전과 활용을 균형 있게 관리하기 위한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역으로 적절한 규모와 구역을 설정합니다.
    4

    효과적인 관리와 협력 체계

    • - 정부, 지역사회, 연구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협력하여 운영해야 합니다.
    • - 장기적인 보전 목표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관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5

    연구, 교육 및 협력 기회 제공

    • - 생태계 및 환경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 환경 교육, 훈련, 지속 가능한 관광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협력해야 합니다.

    세계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WNBR) 법적 체계

지정 절차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인간과 생물권 프로그램(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MAB)’에 따라, 국제조정이사회(ICC)의 심의를 거쳐 공식적으로 지정됩니다.
    • STEP1생물권보전지역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STEP2MAB 국가위원회 심사
    • STEP3UNESCO 생태지구과학국 제출
    • STEP4국제자문위원회(IACBR) 심사
    • STEP5신청자료 보충
    • STEP6선출하여 MAB 국제조정이사회
      (MAB-ICC) 결정

    * 기존 생물권보전지역의 조정 및 확장

    • - 각국은 기존 생물권보전지역의 적절성을 조사하고, 필요할 경우 확장 또는 조정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 - 확장 제안은 신규 지역 지정 절차와 동일한 과정을 거칩니다.

    * 법적 지위

    • - 생물권보전지역은 유네스코 네트워크의 일부로 간주되며, 지정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받습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절차

세계의 생물권 보전지역 * 24년 기준


  • 2024년 기준 전 세계 136개국에서 759개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자연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목록

관련사이트

하단 배너

  • 환경부
  • 제주특별자치도
  • 유네스코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세계자연보전연맹